전문가들은 육전을 만들 때는 등심 부위를 사용하라고 합니다
이번 포스트에서는 전문가들이 입모아 칭찬하는 육전의 충격적인 효능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육전을 많이 먹어본 사람은 알겠지만 육전은 그렇게 맛있지 않습니다.
하지만 정말 몸에 좋은 음식입니다.
고기가 아니라 고기맛 나는 음식입니다.
오늘은 전문가들이 극찬하는 육전의 매력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육전은 육포입니다.
육포를 만들기 위해서는 소기름이라는 동물성 지방과 간장, 설탕, 참기름 등이 들어갑니다.
이 재료들을 잘 섞어서 반죽을 하면 육포 특유의 질은 촉감을 느낄 수 있습니다.
오늘의 주인공 입니다.
육전의 재료는 소고기 입니다.
소고기는 부위별로 맛이 정말 다릅니다.
어떤 부위는 입에서 살살 녹을 정도로 맛있는 고기가 있고 식감 자체가 뻣뻣해서 맛이 없는 고기가 있습니다.
전문가들은 소고기 부위별로 육전을 해서 먹어보면 소고기가 얼마나 맛있는 부위인지 알 수 있다고 합니다.
한우 1++등급 소고기로 만든 육전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1++ 소고기 등급 소고기: 등심, 안심, 살치살, 채끝살 육전 육포: 사태살, 우둔살, 홍두깨살 육포 육전 부위: 천엽(간), 천엽(피부), 차돌박이, 우둔살, 홍두깨살 육포를 만들기 위해서는 마블링이 잘되고 기름이 많은 부위로 해야합니다.
육포를 만들 때 기름은 많을수록 좋기 때문에 육전을 만들때는 기름이 많은 부위를 골라야 합니다.
마블링이 잘 되고 기름이 많은 부위가 바로 천엽입니다.
천엽은 소의 두번째 위중에 하나인 막창이라고 불리기도 합니다.
막창은 막창을 뜻하는 말입니다.
천엽은 소 한마리당 약 1kg정도만 나오니 천엽은 귀하고 비싸다고 할 수 있습니다.
천엽은 특유의 꼬들꼬들한 식감으로 소고기를 먹는 느낌을 줍니다.
천엽은 다른 육전과 달리 기름기가 적어서 소고기를 먹는 느낌이 나는 부위입니다.
천엽은 맛은 좋은데 손질하기가 까다로운 편입니다.
천엽은 기름이 적은 부위이므로 천엽 자체가 많이 나옵니다.
천엽은 지방을 떼어내고 손질한 다음 깨끗이 씻어서 먹습니다.
천엽을 참기름에 볶으면 고기를 먹는 느낌이 납니다.
한우 1++ 등급 지방은 적고 단백질과 비타민이 풍부합니다.
맛도 좋고 몸에도 좋은 음식입니다.
쇠고기는 부위별로 맛이 다릅니다.
지방 함량이 낮은 곳은 부드럽고 입에서 살살 녹는 맛이 나고 지방 함량이 높은 곳은 쫄깃하고 탄탄한 맛이 나고 식감이 좋습니다.
육전을 만들때 가장 적당한 부위는 바로 등심입니다.
등심에는 지방이 없습니다.
등심은 주로 구이로 요리해 먹습니다.
등심은 살코기의 비율이 높아서 다이어트용으로도 많이 사용됩니다.
천엽과 등심은 손질하기 까다로운 부위입니다.
등심이 맛있으면 고기가 부드럽고 맛이 좋습니다.
하지만 지방을 좋아하는 분들은 등심을 먹을 때도 마블링이 잘 된 등심을 선택하셔야 합니다.
등심은 지방이 적은 부위이지만 마블링이 잘된 것을 고르면 고기의 질이 좋아서 입에서 살살 녹습니다.
전문가들은 등심이 고기의 질이 가장 좋은 부위라고 합니다.
전문가들은 육전을 만들 때는 등심 부위를 사용하라고 합니다.
전문가들은 지방이 적은 등심 부위는 기름기가 적은 부위이니 고기의 질이 좋은 등심 부위를 사용하라고 추천합니다.
> 이 글은 필자 개인의 지식과 여러 정보성 글들을 참조하여 작성되었으나, 모든 내용이 옳다는 것을 보장할 수는 없습니다.
> 따라서 본 블로그는 글의 내용으로 인한 모든 피해에 대해 일체의 책임을 지지 않습니다.
반응형
'건강'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삶은 계란의 신비한 효능 (1) 삶은계란은 우리몸에 왜 좋을까? (0) | 2022.08.17 |
---|---|
생굴은 건강식품으로 많이 먹지만, 이때 주의할점이 있다고 합니다 (0) | 2022.08.17 |
위장에 좋은 호박전 호박전을 먹으면 소화가 잘 되고 위장이 편안해집니다 (0) | 2022.08.17 |
우리 나라에서는 '죽'을 먹을 때 찬도 함께 내놓아야 합니다 (0) | 2022.08.17 |
이상 꽁치의 효능, 꽁치 손질법, 꽁치 효능을 알아보았습니다 (0) | 2022.08.17 |